[ 개념 정리 ] HTTP 기본 ( HTTP 개념 / HTTP 메시지 ) (2)
💡 웹 개발자라면 알아야할 HTTP 관련 지식을 파헤쳐 보자 !
HTTP
✅ HTTP 란 ?
- 정의
•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의 약자
• 인터넷에서 정보를 주고받는데 사용되는 기본적인 통신 규약
- 특징
• HTML , TEXT , 이미지 , 음성 , 영상 , JSON , XML 거의 모든 형태의 데이터가 전송 가능
• 서버간에 데이터를 주고받는 경우에도 대부분 HTTP 사용
• 브라우저는 클라이언트 , 웹서버는 서버 역할 ( 클라이언트 - 서버 구조 )
• 한번의 요청과 응답으로 통신이 끝나고, 다음 요청은 새 연결을 맺어야 한다. ( 비 연결성 )
• 서버는 이전 요청에 대한 정보를 기억하지 않는다. ( 무상태 )
• HTTP 메서드를 사용해 서버에 요청할 수 있다.
👉 HTTP/1.1 버전 : 가장 많이 사용 ( 우리가 알아야 할 중요한 버전 )
- 클라이언트 서버 구조
• Request , Response 구조
• 클라이언트는 서버에 요청( Request ) 를 보내고 응답 대기
• 서버는 요청에 대한 결과를 만들어 응답( Response )
- 무상태 ( Stateless )
• 웹 애플리케이션에선 무상태로 설계할 수 있는 것도 있고 없는것 또한 존재한다.
• 로그인 같은 경우에는 상태유지를 해야한다. ( 브라우저 쿠키와 서버 세션 등 사용 )
• 상태유지는 최소한만 사용하는것이 좋다.
✅ HTTP 메시지 란 ?
- HTTP 요청 메시지와 HTTP 응답 메시지
• 요청 메시지와 응답 메시지는 형태가 다르다.
ㅋ
- HTTP 메시지의 구조
• empty line 공백라인 은 무조건 존재해야 한다.
- HTTP 요청 메시지
• 요청 메시지도 Body 본문 가질 수 있음
- HTTP 응답 메시지
• 요청 메시지와 응답 메시지의 시작 line 이 다르다.
- 시작 라인 ( 요청 메시지 )
• request-line 이라고 불린다.
• HTTP Method + request-target ( Path ) + HTTP Version 으로 이루어져 있다.
• request-target 의 경우 절대경로 ( "/"로 시작하는 경로 ) 를 사용한다.
- 시작 라인 ( 응답 메시지 )
• status-line 이라고 불린다.
• HTTP Version + status-code + reason-phrase 으로 이루어져 있다.
• status-code : 요청의 성공 , 실패를 나타냄
• reason-phrase :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짧은 상태 코드 설명 글
- HTTP 헤더
• field-name ":" OWS field-value OWS 로 이루어져 있다.
• field-name 은 대소문자 구분 없음
• HTTP 전송에 필요한 모든 부가정보
• 메시지 바디의 내용 , 메시지 바디의 크기 , 압축 , 인증 , 요청 클라이언트 정보 등
- HTTP 메시지 바디
• 실제 전송할 데이터
• HTML 문서 , 이미지 , 영상 , JSON 등등 byte로 표현할 수 있는 모든 데이터 전송 가능
※ 해당 내용은 인프런 김영한 강사님의 "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 웹 기본지식 " 인강을 참고하였습니다